험블 인디 번들(Humble Indie Bundle) 종료! 100만불 돌파! 오픈 소스화! 그리고 복돌이의 출동!
험블 인디 번들(Humble Indie Bundle)이 1주일의 과정을 모두 마치고 엔딩을 찍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입금은 가능한거 같은데, 기부 성격에 가까울 듯.)
100만$ 넘겼습니다. 12만명 넘게 참여, 30%인 340,881$가 자선단체로 갈 예정.
그 답례로 오픈소스화를 시작했습니다. [월드 오브 구(World of Goo)]만 예외.
허나 행사 중에도 복돌이의 역습은 있었습니다. 다운로드 트래픽 추정 25%. (토렌트 제외.)
가장 껄끄럽고 중요한 이슈는 '복돌이'가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이번에 파악된 복돌이는 '험블 인디 번들에서 구매 후 얻은 링크를 재배포한 것'에서 나온 수치로써, 해당 서비스 서버의 트래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현상입니다. 울파이어 블로그에서는 '복사를 하려면 차라리 토렌트에서'라며 유머있게 넘어가긴 했지만, 솔직히 아닌건 아니죠. 물론 해당 복사자들에 대해, 크레디트 카드를 쓸 수 없는 사람(청소년 등) / 페이팰(Paypal) 등의 서비스가 곤란한 나라의 사람들(러시아 등)일 것이라 추측하기도 했고, 그 밑의 리플에서도 그런 답변들이 어느정도 있긴 했습니다.
100만$ 넘겼습니다. 12만명 넘게 참여, 30%인 340,881$가 자선단체로 갈 예정.
그 답례로 오픈소스화를 시작했습니다. [월드 오브 구(World of Goo)]만 예외.
허나 행사 중에도 복돌이의 역습은 있었습니다. 다운로드 트래픽 추정 25%. (토렌트 제외.)
가장 껄끄럽고 중요한 이슈는 '복돌이'가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이번에 파악된 복돌이는 '험블 인디 번들에서 구매 후 얻은 링크를 재배포한 것'에서 나온 수치로써, 해당 서비스 서버의 트래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현상입니다. 울파이어 블로그에서는 '복사를 하려면 차라리 토렌트에서'라며 유머있게 넘어가긴 했지만, 솔직히 아닌건 아니죠. 물론 해당 복사자들에 대해, 크레디트 카드를 쓸 수 없는 사람(청소년 등) / 페이팰(Paypal) 등의 서비스가 곤란한 나라의 사람들(러시아 등)일 것이라 추측하기도 했고, 그 밑의 리플에서도 그런 답변들이 어느정도 있긴 했습니다.
Comments
2010-05-12 15:30:55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