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9/13에 도착한 보도자료인데, 스팀 본진의 보도자료 모음에는 없군요. 그래서 전문을 긁어 올려봅니다.

Steam Adds Rubles, Continuing Growth in Russia
Valve today announced support for Rubles, the currency of Russia, on Steam.  With millions of players in Russia already using Steam, adding Rubles and local pricing for Russia will make Steam's catalog of PC and Mac games even more accessible.  Prior to the addition of Rubles, Steam was available in Russia with support for other payment methods such as WebMoney, Visa, Mastercard and ClickandBuy.
"PC Gaming has always been strong in Russia, and we're excited to help improve the experience for Steam customers." said Jason Holtman, Director of Business Development "We're hoping to make gamers happy over the coming months by improving their access to great games."
Thanks

---

스팀에서 '러시아'를 강조한건 꽤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온라인은 물론이요 인디 게임의 디지털 유통 등에서 항상 복제 천국으로 언급되는 나라가 러시아입니다. [월드 오브 구(World of Goo)]의 '복제율 90%' 글의 리플에서도 그 이유가 여러차례 언급되었는데요. '살 생각이 없는건 아닌데 비싸서 못 사겠다'가 주된 이유였습니다. 러시아의 경제 수준이 아무래도 미국 등보다는 많이 낮으니까요.

그럼에도 스팀이 러시아에서 잘 나가 루불까지 받겠다고 선언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물론 타국의 게임 가격보다 러시아가 훨씬 쌀것 같지만, 그렇더라도 러시아의 경제 사정보단 비싸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1/10까진 아닐테니까.) 그래도 잘 팔린다면, 결국 '디지털 유통에서 중요한 것은 유저 편의성'이라는 것을 반증해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의 스팀이 말도 탈도 많았던건 사실이지만, 지금의 스팀은 굉장히 편해진거 사실이니까요.

P.S. : 놀랍게도 진정한 복제 강국 한국에서도 스팀의 정품 구매자들은 늘고 있는 느낌입니다. 아마도 비슷한 이유로.

Comments

No comments.

Trackbacks

No trackbacks.
이 페이지는 백업으로부터 자동 생성된 페이지입니다.

[archive.org 에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