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Consoles are shipping on time! - 2012/11/30, Ouya blog

계획대로 만들고 있고, 12/28 몇 백명의 킥스타터 펀딩한 개발자들에게 개발자용 우야를 발송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초기 버젼의 우야로써 테스트용으로 쓸 수 있다 하고, 최종 버젼이 발송되면 모든 우야 기계가 개발자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거라고 합니다.

---

그런데 [슈퍼 헥사곤(Super Hexagon)]으로 주가를 올리고 있는 테리 카바나(Terry Cavanagh)의 트윗에 이런게 올라옵니다.

http://twitter.com/terrycavanagh/status/274877594107797504

"우야 플랫폼에 올라오는 모든 게임은 'F2P(Free to Play, 부분유료화)'가 되어야 한다고 들었다."

우야를 초도 주문한 사람들의 상당수는 비디오 게임에 관심 많은 코어 게이머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들에게 부분무료화게임'도' 있는건 크게 문제가 안되지만, 부분무료화'만' 있다면 큰 문제가 생깁니다. 게다가 개발자 중 부분무료화나 iAP(in-App-Purchase)를 굉장히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는데다, 특히 테리 카바나는 [돈 룩 백(Don't look back)]을 iOS로 내며 'iAP이나 그 비슷한 논센스스러운 것을 갖고 있지 않다'고 설명에 적었다가 애플에게 까인적도 있던 사람이라 그 충격이 더 클 것입니다.

그에 관련해 노치(notch)까지 트윗을 올립니다.

http://twitter.com/notch/status/274881293303549952

"그렇다면, [마인크래프트] 확실히 안 들어갈거다."

가는 플랫폼마다 대박을 치고 있는 [마인크래프트]니까 꽤 심각한 얘기가 나온 셈입니다.

---

허나 이 이야기들은 '오해'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F2P 기반'이 아니라, '무료 데모 다운로드 후 결제로 언락'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XBLIG(Xbox Live Indie Game)같은 방식이 아니냐는 얘기도 있긴 합니다.

단 아직도 우야의 공식 트위터공식 블로그에서 이에 대한 해명자료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좀 더 기다려봐야겠습니다.

Comments

익명
2013-07-06 14:36:05

비공개 댓글입니다.

익명
2013-07-06 14:38:18

비공개 댓글입니다.

Trackbacks

No trackbacks.
이 페이지는 백업으로부터 자동 생성된 페이지입니다.

[archive.org 에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