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커뮤니티 마켓 베타 오픈! 스팀 월렛 충전한 돈으로 [팀 포트리스 2] 아이템 사고 팔기 가능!
(업데이트 1 - 2012/12/13 11:40)
현재까지 판매 가능한 품목은 '1회용 소모품'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한 번 쓰면 사라질 아이템들이 너무 많이 남아있어서 거래를 통해 없애려는게 아닌가 싶네요. 즉 아직까지 빌 모자 - 맥스 모자 - 이어버드 등은 마켓에서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앞으로는 거래 될거라 봅니다.)
---
갑자기 아주 갑자기, 스팀에 '커뮤니티 마켓'이라는 것이 생겼습니다.
http://steamcommunity.com/market/
기존에는 [팀 포트리스 2] 아이템을 스팀 채팅의 트레이드 창을 통해, 게임 내 아이템이나 / 스팀 게임 등으로 교환 가능했습니다.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주는 것도 가능은 했죠. 이 마켓은 '스팀 월렛(Steam Wallet)'에 충전된 돈으로 사고 팔 수 있게 하는 겁니다. 그렇습니다. 스팀 내 아이템 현금 거래를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판매 가능한 아이템은 인벤토리에 'marketable'이라고 써있고요. 마켓 페이지에서 '아이템 판매'를 찍어보면 팔 수 있는 아이템들의 목록만 보실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동일한 아이템은 하나로 묶어 가격을 보여줘서, 어느정도 가격에 올려야할지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베타 단계인 현재는 [팀 포트리스 2] 아이템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분명히, 다른 F2P 게임들 아이템의 거래로도 영역을 넓혀가겠죠. 당연히 거래 수수료도 있습니다. 베타 단계에서 스팀 거래 수수료 5% + 별도의 [팀 포트리스 2] 수수료(즉 게임 퍼블리셔 수수료) 10%를 받게 됩니다. 스팀 거래 수수료는 구매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단 현재 스팀 월렛의 잔고는 200$까지로 제한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쌓아두는 것은 불가능하고, 베타 기간동안 1년에 200건으로 판매 횟수에 제한을 둔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마, 스팀 월렛의 인출은 불가능하죠... 직업적인 거래꾼들에게서 아직까지는 안전한 것 같습니다. 그렇게 번 스팀 월렛은 스팀 안에서 또 쓰게 될테니, 돈은 활발하게 돌면서 수수료를 먹는 밸브 만세...
P.S. : 현재 Mann Co. 보급 상자가 0.02$에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데, 누군가는 사재기로 갑부가 되는 꿈을 꿀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베타기간동안 1년동안 판매 200건 제한을 두고, 스팀 월렛 200$ 제한도 있으니...
P.S. 2 : [팀 포트리스 2] 수수료란 게임 퍼블리셔 수수료입니다. 밸브는 물론 F2P 게임을 서비스하는 회사들도 아이템 거래 수수료를 받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팀 포트리스 2]의 경우 10%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후 다른 F2P 게임들에게 선례가 생긴 셈이라 다들 10% 받아도 괜찮을것 같으니... 앞으로 이거 굉장해지겠네요...
현재까지 판매 가능한 품목은 '1회용 소모품'으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한 번 쓰면 사라질 아이템들이 너무 많이 남아있어서 거래를 통해 없애려는게 아닌가 싶네요. 즉 아직까지 빌 모자 - 맥스 모자 - 이어버드 등은 마켓에서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앞으로는 거래 될거라 봅니다.)
---
갑자기 아주 갑자기, 스팀에 '커뮤니티 마켓'이라는 것이 생겼습니다.
http://steamcommunity.com/market/
기존에는 [팀 포트리스 2] 아이템을 스팀 채팅의 트레이드 창을 통해, 게임 내 아이템이나 / 스팀 게임 등으로 교환 가능했습니다.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주는 것도 가능은 했죠. 이 마켓은 '스팀 월렛(Steam Wallet)'에 충전된 돈으로 사고 팔 수 있게 하는 겁니다. 그렇습니다. 스팀 내 아이템 현금 거래를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판매 가능한 아이템은 인벤토리에 'marketable'이라고 써있고요. 마켓 페이지에서 '아이템 판매'를 찍어보면 팔 수 있는 아이템들의 목록만 보실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동일한 아이템은 하나로 묶어 가격을 보여줘서, 어느정도 가격에 올려야할지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베타 단계인 현재는 [팀 포트리스 2] 아이템만 거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분명히, 다른 F2P 게임들 아이템의 거래로도 영역을 넓혀가겠죠. 당연히 거래 수수료도 있습니다. 베타 단계에서 스팀 거래 수수료 5% + 별도의 [팀 포트리스 2] 수수료(즉 게임 퍼블리셔 수수료) 10%를 받게 됩니다. 스팀 거래 수수료는 구매자가 부담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단 현재 스팀 월렛의 잔고는 200$까지로 제한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쌓아두는 것은 불가능하고, 베타 기간동안 1년에 200건으로 판매 횟수에 제한을 둔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마, 스팀 월렛의 인출은 불가능하죠... 직업적인 거래꾼들에게서 아직까지는 안전한 것 같습니다. 그렇게 번 스팀 월렛은 스팀 안에서 또 쓰게 될테니, 돈은 활발하게 돌면서 수수료를 먹는 밸브 만세...
P.S. : 현재 Mann Co. 보급 상자가 0.02$에 쏟아져 들어오고 있는데, 누군가는 사재기로 갑부가 되는 꿈을 꿀지도 모르겠네요. 그런데 베타기간동안 1년동안 판매 200건 제한을 두고, 스팀 월렛 200$ 제한도 있으니...
P.S. 2 : [팀 포트리스 2] 수수료란 게임 퍼블리셔 수수료입니다. 밸브는 물론 F2P 게임을 서비스하는 회사들도 아이템 거래 수수료를 받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팀 포트리스 2]의 경우 10%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후 다른 F2P 게임들에게 선례가 생긴 셈이라 다들 10% 받아도 괜찮을것 같으니... 앞으로 이거 굉장해지겠네요...
Comments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