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 학교다 1일차 다녀왔습니다. 1. 개막 행사.
주최 : kocca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 : ftm /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 Come & Play Festival / Games for Change Korea / 놀공발전소 / Institute of Play
강사 :
- 제임스 폴 지(James Paul Gee)
아리조나 주립대학 석좌교수
The 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의 회원이며 언어, 교육, 게임, 사회적 맥락을 통합한 융복합 연구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는 New Literacy Studies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그의‘문화적 환경에 따른 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방법론은 지난 20년동안 학계에 널리 영향력을 끼쳤다. 저서 'What Video Games Have to Teach Us About Learning and Literacy' 에서 게임을 통해서 효과적인 교육 환경에 대해 알렸으며 교육공학과 게임을 결합한 Game and Learning 분야 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 이승택(Peter Lee)
놀공발전소, 전 Gamelab 대표
뉴욕의 선도적인 캐주얼게임 개발사 Gamelab의 공동 대표 역임하고 뉴욕대와 Parsons School of Design 겸임 교수를 역임했다. 2006년 Game & Learning 관련 비영리 연구소 Institute of Play 를 설립, 현재 고문 이사로 참여중이며 디지털 세대를 위한 학교인 Quest to Learn 설립에 참여했다. 빅게임 페스티벌 ‘Come out & Play’운영자이며 2007년 귀국해 놀공발전소 설립하여 게임을 통한 교육과 문화 관련 연구와 활동을 시작했으며 성균관 대학 영상학과 겸임 교수로 재직중이다.
- 엘리자베스 헤이스(Elisabeth Hayes)
아리조나 주립대학 교수
디지털기술과 교육을 결합하는 새로운 연구분야, 특히 청소년 들의 기술적, 예술적, 인지적 능력을 향상 시키는 혁신적인 게임디자인 소프트웨어개발, 여성들의 IT 이용 능력을 높이는 게임개발 등에 연구역량을 모으고 있다.
[게임이 학교다] 행사 소개는 여기.
-----
1교시 : 개막 행사, 1시.
개막 행사는 인물 소개와 전체 일정 소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게임즈 포 체인지(Game for Change)의 한국 지부장을 맡고 계시는 수잔나 오(Susanna Oh)님의 소개와, 해당 단체의 한국어 홈페이지가 생겼다는 사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과 DMZ 관련 게임을 만들 MOU를 체결했다는 소식. 5월 말 뉴욕에서 게임즈 포 체인지 페스티발이 있다는 공지. g4c 툴킷이라는 개발 툴을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는 정보 등이 제공되었습니다.
더불어 놀공발전소를 설립한 이승택(Peter Lee)님에 대한 소개와, 행사 전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퀘스트 투 런(Quest to Learn)을 뉴욕 공립 학교로 설립 완료했다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죠.
그리고 강사 소개. 강사분 중 제임스 폴 지(James Paul Gee) 교수님은, 원래 언어 교육 전공이셨는데 우연히 게임을 하게 되었고, 그 후 게임을 통해 학습을 할 수 있다 생각하게 되셨다 합니다. 엘리자베스 헤이스(Elisabeth Hayse)님은 관련 리서치를 아주 많이 하셨다 하고요. 이승택 선상님은 뭐, 과거의 Pig-min에서 너무 많이 다뤘던 분인데, 뉴욕에 19년 -> 게임랩(Gamelab)을 열고 닫았다 -> 게임랩 말년 연구소 차림 -> 연구소에서 학교 설립 관여. 원래는 엔터테인먼트였지만, 게임 + 학습에 관심을 갖고 매진하다, 한국에 니즈가 있을거 같다 생각하고 귀국...
다음 글로 이어집니다.
P.S. : 워낙 내용이 방대해서 제대로 정리가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승택님 선상님께 많은 분들이 압박을 넣으셔서, 오피셜한 정리본을 발표하시라고 등 떠미시길...
P.S. 2 : 이승택님은 미국 현지에서도 'Peter Lee Seung Taek'까지 풀네임을 강조하시던 분인데, 오히려 한국에서는 '피터 리'로만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점은 좀 미묘......
주관 : ftm /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 Come & Play Festival / Games for Change Korea / 놀공발전소 / Institute of Play
강사 :
- 제임스 폴 지(James Paul Gee)
아리조나 주립대학 석좌교수
The 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의 회원이며 언어, 교육, 게임, 사회적 맥락을 통합한 융복합 연구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는 New Literacy Studies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그의‘문화적 환경에 따른 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방법론은 지난 20년동안 학계에 널리 영향력을 끼쳤다. 저서 'What Video Games Have to Teach Us About Learning and Literacy' 에서 게임을 통해서 효과적인 교육 환경에 대해 알렸으며 교육공학과 게임을 결합한 Game and Learning 분야 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 이승택(Peter Lee)
놀공발전소, 전 Gamelab 대표
뉴욕의 선도적인 캐주얼게임 개발사 Gamelab의 공동 대표 역임하고 뉴욕대와 Parsons School of Design 겸임 교수를 역임했다. 2006년 Game & Learning 관련 비영리 연구소 Institute of Play 를 설립, 현재 고문 이사로 참여중이며 디지털 세대를 위한 학교인 Quest to Learn 설립에 참여했다. 빅게임 페스티벌 ‘Come out & Play’운영자이며 2007년 귀국해 놀공발전소 설립하여 게임을 통한 교육과 문화 관련 연구와 활동을 시작했으며 성균관 대학 영상학과 겸임 교수로 재직중이다.
- 엘리자베스 헤이스(Elisabeth Hayes)
아리조나 주립대학 교수
디지털기술과 교육을 결합하는 새로운 연구분야, 특히 청소년 들의 기술적, 예술적, 인지적 능력을 향상 시키는 혁신적인 게임디자인 소프트웨어개발, 여성들의 IT 이용 능력을 높이는 게임개발 등에 연구역량을 모으고 있다.
[게임이 학교다] 행사 소개는 여기.
-----
1교시 : 개막 행사, 1시.
개막 행사는 인물 소개와 전체 일정 소개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게임즈 포 체인지(Game for Change)의 한국 지부장을 맡고 계시는 수잔나 오(Susanna Oh)님의 소개와, 해당 단체의 한국어 홈페이지가 생겼다는 사실. 경기디지털콘텐츠진흥원과 DMZ 관련 게임을 만들 MOU를 체결했다는 소식. 5월 말 뉴욕에서 게임즈 포 체인지 페스티발이 있다는 공지. g4c 툴킷이라는 개발 툴을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는 정보 등이 제공되었습니다.
더불어 놀공발전소를 설립한 이승택(Peter Lee)님에 대한 소개와, 행사 전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퀘스트 투 런(Quest to Learn)을 뉴욕 공립 학교로 설립 완료했다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죠.
그리고 강사 소개. 강사분 중 제임스 폴 지(James Paul Gee) 교수님은, 원래 언어 교육 전공이셨는데 우연히 게임을 하게 되었고, 그 후 게임을 통해 학습을 할 수 있다 생각하게 되셨다 합니다. 엘리자베스 헤이스(Elisabeth Hayse)님은 관련 리서치를 아주 많이 하셨다 하고요. 이승택 선상님은 뭐, 과거의 Pig-min에서 너무 많이 다뤘던 분인데, 뉴욕에 19년 -> 게임랩(Gamelab)을 열고 닫았다 -> 게임랩 말년 연구소 차림 -> 연구소에서 학교 설립 관여. 원래는 엔터테인먼트였지만, 게임 + 학습에 관심을 갖고 매진하다, 한국에 니즈가 있을거 같다 생각하고 귀국...
다음 글로 이어집니다.
P.S. : 워낙 내용이 방대해서 제대로 정리가 될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승택님 선상님께 많은 분들이 압박을 넣으셔서, 오피셜한 정리본을 발표하시라고 등 떠미시길...
P.S. 2 : 이승택님은 미국 현지에서도 'Peter Lee Seung Taek'까지 풀네임을 강조하시던 분인데, 오히려 한국에서는 '피터 리'로만 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점은 좀 미묘......
Comments
2010-03-16 22:27:56
비공개 댓글입니다.
2010-03-17 16:58:15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