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트라이더(Boatrider)] (2007)
서비스 : 이명박 후보 공식 홈페이지 (제작 Gameangel)
발매연도 : 2007
가격 : 프리웨어 (웹게임, 광고게임)
'운하 정책'을 홍보하기 위한 게임인데, 왜 그 '운하' 위에는...
지금은 깔끔하지만, 곧 수많은 장애물이 등장한다.
Pig-Min에 지난 8월 3일 올린바와 같이, 이명박 후보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보트라이더(Boatrider)]라는 플래시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명박 후보가 내세우고 있는 '운하'에 관련된 정책을 홍보하기 위한 일종의 '광고 게임'인데, 그동안은 '선거법 위반'에 걸리지 않기 위해 리뷰하지 않아왔는데요. 이제는 리뷰해도 될것 같아 몇 자 적습니다.
일단 '광고'를 위해 접근이 쉬운 웹게임을 택한 것은, 꽤 괜찮은 생각이었습니다. Pig-Min에서도 여러차례 다루거나 사담에서 얘기한 것과 같이, 의외로 많은 이들이 플래시 등으로 만들어진 웹게임을 즐겨 접근성이 매우 높고, 그 점 때문에 한국의 영화 공식 홈페이지나 해외의 여러 업체들이 '광고용 웹게임'을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기도 하죠. 여기서 한가지 걸리는 점은, '퍼갈 수 있는 코드를 제공했으면 훨씬 광고효과가 높았을 것'이라는 점인데요. 만든 것 자체만으로도, 현재 대선의 정치권 후보중에서는 유일하므로, 그 점은 높이 사야 할것입니다.
게임 자체는, 너무 단조롭다는 느낌인데요. 화살표 키로 좌우로 움직이며, 스페이스 바로 점프하고, 장애물을 피하면서 아이템을 먹으면 됩니다. 보도자료에서 언급한 [카트 라이더]와 비교는 좀 오버지만, 너무 단조로와서 그렇지, 게임 자체가 많이 나쁜 편은 아니에요. 그러나 플레이 자체가 단조로운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스테이지 진행에 따른 난이도 상승이 전혀 없다는 것은 문제입니다. 3 스테이지까지 진행했는데, 변화하는 것은 스테이지의 길이와 장애물 / 아이템의 종류 정도더군요. 제가 인지하지 못한 난이도 상승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렇다면 난이도 조절에 문제가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냥 '광고 게임'이라고 생각하자면, 이걸로도 괜찮을지 모르겠군요.
그런데 이 게임에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제가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원래 '운하'를 만들자는 정책은, 배로 넓고 편리하며 빨리 갈 수 있는 운송로를 만들자는 취지일거에요. 그런데 이 게임 [보트라이더]에서는, 그 '편리하며 빨리 갈 수 있어야 할' 운하에 수많은 장애물과 아이템이 떨어져있어서, 계속 좌우로 움직이며 점프해야만 합니다. 네. '게임'으로 보자면 '재미를 주는 요소'겠지만, '실제 운하'라고 생각하면 이건 지옥이죠. 장애물도 장애물이지만, 떨어져 있는 아이템도 모두 '산업 쓰레기'같은 녀석들일테니 말입니다. 즉 '정책'을 알리는'광고'로써는 부적합하거나, 혹은 역공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죠.
일단 접근성이 쉬운 '웹게임'으로 '광고'를 노렸다는 것 자체로는, 꽤 좋은 생각입니다. 게임이 좀 애매하긴 하지만, 만들었다는거 자체로도 좋은 일이에요. 하지만 '정책'의 내세우는 점과 '정반대 요소'를 게임에 심어놓았다는 것은, 절대로 좋지 않습니다. '광고 게임'을 만들자는 취지는 좋았지만, 그 내용과 구성에도 신경을 써야만 했을 거에요.
게임 하는 곳 :
이명박 후보 공식 홈페이지 (우측 하단 배너 클릭)
보도자료
관련 링크 :
'부시 대통령에게 플레이스테이션 2를 사주자'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명박 후보에게는?
P.S. : 이 리뷰는 이명박 후보의 홈페이지에서 서비스하는 [보트라이더] 게임의 리뷰일뿐, 정치적으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거나 공격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이 글 안에서만큼은 그렇습니다.
P.S. 2 : 스토리베리에서 퍼왔음(...)
'부시 대통령에게 플레이스테이션 2를 사주자'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명박 후보에게는? - Pig-Min : Post Indie Gaming
2007-11-29 13:48:54
발매연도 : 2007
가격 : 프리웨어 (웹게임, 광고게임)
'운하 정책'을 홍보하기 위한 게임인데, 왜 그 '운하' 위에는...
Pig-Min에 지난 8월 3일 올린바와 같이, 이명박 후보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보트라이더(Boatrider)]라는 플래시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명박 후보가 내세우고 있는 '운하'에 관련된 정책을 홍보하기 위한 일종의 '광고 게임'인데, 그동안은 '선거법 위반'에 걸리지 않기 위해 리뷰하지 않아왔는데요. 이제는 리뷰해도 될것 같아 몇 자 적습니다.
일단 '광고'를 위해 접근이 쉬운 웹게임을 택한 것은, 꽤 괜찮은 생각이었습니다. Pig-Min에서도 여러차례 다루거나 사담에서 얘기한 것과 같이, 의외로 많은 이들이 플래시 등으로 만들어진 웹게임을 즐겨 접근성이 매우 높고, 그 점 때문에 한국의 영화 공식 홈페이지나 해외의 여러 업체들이 '광고용 웹게임'을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기도 하죠. 여기서 한가지 걸리는 점은, '퍼갈 수 있는 코드를 제공했으면 훨씬 광고효과가 높았을 것'이라는 점인데요. 만든 것 자체만으로도, 현재 대선의 정치권 후보중에서는 유일하므로, 그 점은 높이 사야 할것입니다.
게임 자체는, 너무 단조롭다는 느낌인데요. 화살표 키로 좌우로 움직이며, 스페이스 바로 점프하고, 장애물을 피하면서 아이템을 먹으면 됩니다. 보도자료에서 언급한 [카트 라이더]와 비교는 좀 오버지만, 너무 단조로와서 그렇지, 게임 자체가 많이 나쁜 편은 아니에요. 그러나 플레이 자체가 단조로운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스테이지 진행에 따른 난이도 상승이 전혀 없다는 것은 문제입니다. 3 스테이지까지 진행했는데, 변화하는 것은 스테이지의 길이와 장애물 / 아이템의 종류 정도더군요. 제가 인지하지 못한 난이도 상승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렇다면 난이도 조절에 문제가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냥 '광고 게임'이라고 생각하자면, 이걸로도 괜찮을지 모르겠군요.
그런데 이 게임에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숨어있습니다.
제가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원래 '운하'를 만들자는 정책은, 배로 넓고 편리하며 빨리 갈 수 있는 운송로를 만들자는 취지일거에요. 그런데 이 게임 [보트라이더]에서는, 그 '편리하며 빨리 갈 수 있어야 할' 운하에 수많은 장애물과 아이템이 떨어져있어서, 계속 좌우로 움직이며 점프해야만 합니다. 네. '게임'으로 보자면 '재미를 주는 요소'겠지만, '실제 운하'라고 생각하면 이건 지옥이죠. 장애물도 장애물이지만, 떨어져 있는 아이템도 모두 '산업 쓰레기'같은 녀석들일테니 말입니다. 즉 '정책'을 알리는'광고'로써는 부적합하거나, 혹은 역공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죠.
일단 접근성이 쉬운 '웹게임'으로 '광고'를 노렸다는 것 자체로는, 꽤 좋은 생각입니다. 게임이 좀 애매하긴 하지만, 만들었다는거 자체로도 좋은 일이에요. 하지만 '정책'의 내세우는 점과 '정반대 요소'를 게임에 심어놓았다는 것은, 절대로 좋지 않습니다. '광고 게임'을 만들자는 취지는 좋았지만, 그 내용과 구성에도 신경을 써야만 했을 거에요.
게임 하는 곳 :
이명박 후보 공식 홈페이지 (우측 하단 배너 클릭)
보도자료
관련 링크 :
'부시 대통령에게 플레이스테이션 2를 사주자'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명박 후보에게는?
P.S. : 이 리뷰는 이명박 후보의 홈페이지에서 서비스하는 [보트라이더] 게임의 리뷰일뿐, 정치적으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거나 공격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이 글 안에서만큼은 그렇습니다.
P.S. 2 : 스토리베리에서 퍼왔음(...)
Trackbacks
'부시 대통령에게 플레이스테이션 2를 사주자'는 캠페인이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명박 후보에게는? - Pig-Min : Post Indie Gaming
2007-11-29 13:48:54
기억하시는 분도 계시겠지만, 미국의 한 개인이 '부시 대통령에게 플레이스테이션 2를 사주자'는 캠페인(Buy Bush a Playstation 2 Campaign)을 벌인적이 있습니다. '전쟁 같은거 괜히 벌이지 말고 전쟁 게임이나 해라(...)'는 의미의 캠페인이었는데, PS2 기계 + [소콤(Socom)] 소프트 2 종류 + 부통령 체니(Vice President Cheney)와 함께 할 추가 콘트롤러 + 메모리 카드 = 370$를 모금해, 백악..
Comments
2007-11-28 23:49:25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1-29 05:29:40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1-29 19:13:08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1-30 05:10:37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2-01 14:32:48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2-03 05:36:32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7-12-06 03:11:52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