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 [돈 스타브(Don't starve)] 초기 가이드. - 2012/11/27 업데이트 기준.
>>> [돈 스타브(Don't Starve)]는 베타 상태 게임으로써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입니다. 2012/11/27 버젼 기준으로써, 이후 업데이트에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http://www.dontstarvegame.com/blog/
1. 굶지 마라. (Don't starve)
(1) 채집
산딸기 / 당근 등을 채집할 수 있습니다. 당근은 랜덤하게 떨어져있고 줏으면 사라집니다. 산딸기 나무는 그 자리에서 며칠 뒤 다시 열매가 열립니다. 단 '산딸기 나무' 등의 식물을 삽으로 파서 옮기면 '덩'을 주어야 다시 열리니, 4번에서 얘기할 '소'의 군락지를 찾기 전 초반에는 옮겨심지 마세요. 씨앗도 먹을 수 있지만 (3)에서 얘기할 재배에 쓸 수도 있습니다. 초반에는 구워 먹다가 나중에 재배용으로 쓰면 됩니다.
(2) 사냥
토끼 / 새 모두 매우 빨라서 직접 때리려고 가면 대부분 실패합니다. 그래서 함정을 놓습니다. 사실 함정을 놓아도 잘 잡히지는 않고, 당근(토끼) / 씨앗(새)의 미끼를 두면 잘 잡힌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함정 6-7개 깔아두고 왔다갔다 하다보면 알아서 잡혀있고 그렇습니다. 함정 멀리 두면 왔다갔다 귀찮으니 저는 거주지 바로 옆에 두곤 했습니다. <함정에 잡히는 빈도 등은 패치될것도 같음..>
(3) 재배
4.에서 얘기할 '소'의 '덩'이 있어야만 밭을 일굴 수 있습니다. 알케미 엔진(Alchemy Engine)에서 얻을 수 있는 터보 밭이 최고입니다. 씨앗을 놓아야 하고, '덩'으로 거름주면 빨리 자랍니다. 특히 터보 밭은 '덩'을 주면 곧바로 재배 가능합니다.
(4) 요리(cook)
모든 음식물은 요리할 수 있습니다. 밤에 켜는 모닥불(campfire) / 화덕(fire pit) 이상에서 요리할 수 있고요. 연구로 알 수 있는 솥은 4가지 음식물을 넣어 더 좋은 음식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주의할 점은 몬스터 고기는 그냥 먹어도 / 불에 구워 먹어도 헬쓰가 깎이지만, 솥에 4가지 음식물 넣는 것으로 일반 요리로 만들 수 있습니다.
(5) 헬쓰 올리기.
적에게 공격을 받거나 하면 헬쓰가 줄고, 헬쓰가 0이 되면 죽고 리서치 결과와 포인트 외에 모두 잃은 후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먹는걸로 헬쓰를 올릴 수 있긴 한데요. 꽃은 헬쓰만 1, 그리고 씨앗 계열이 헬쓰를 올려줍니다. 씨앗으로 밭에서 재배한 채소와 불에 구운 것 / 솥에서 나온 음식이 훨씬 많이 올려줍니다. 극초반에는 꽃 뜯어 먹다가 나중에 재배한 채소와 불에 구운 것 등을 먹으면 됩니다.
2. 자원 수집 및 조합.
(1) 그냥 채집.
풀 / 꽃 등은 그냥 채집이 가능합니다. 가서 눌러보시면 아실겁니다. 자원에 따라 40개까지 겹쳐 쌓을 수도 있고, 10 / 20개까지 제한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냥 채집은 40개, 도구가 필요한 채집은 20개로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2) 도구가 필요한 채집.
나무 자르려면 도끼가 필요하고, 돌 채굴하려면 곡괭이가 필요하고 그렇습니다. 이건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3) 사냥 / 전투 등의 부산물.
동물이나 괴물이 죽으면 드랍합니다. 어디에 쓰는 자원인지는 표 보면 아실겁니다. 몬스터 고기는 그냥 먹어도 불에 구워 먹어도 헬쓰를 많이 깎으니 주의. 몬스터 고기는 솥에 넣고 만든 음식만 헬쓰 안 깎음
(4) 소의 '덩'.
소의 거주지를 무조건 찾아야 되는 이유는, 소가 '덩'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덩'이 있어야 밭을 일굴 수도 있고, 풀 등을 가져와 심은 후 비료를 줘 생산 가능합니다. 돼지도 준다는데 돼지는 먹을걸 줘야 생산한다하고 밤에는 웨어피그로 변해 공격한다고도 하니, 소가 최고입니다. 소는 자동으로 '덩'을 생산하고 선공을 하지도 않습니다.
(5) 불탄 부산물. 석탄 외 괴물들 드랍.
나무 옆에 모닥불을 놓은 후 화력을 높여 옮겨붙으면 탄 나무만 남고, 거기에 도끼질을 하면 석탄이 생깁니다. 진짜 산불처럼 커져 울창한 숲이 모두 타버릴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도 화상을 입으므로 재빨리 도망갑니다. 거미 집 등을 공격하기 위해 일부러 주변에 나무 울창하게 심은 후 불지르고 도망가는 것도 방법입니다만, 거미 집이 없어져도 거미들은 살아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6) 조합.
자원을 모으는 이유는 조합을 해 도구 등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좌측 세로 메뉴에서 레시피마다 필요한 자원을 다 보여주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나무 / 풀 / 돌은 묶어서 상위 자원을 만들 수도 있으니 찾아보시면 좋을 겁니다. 대부분의 추가 조합은 리서치 포인트를 사용해 일반 기계 / 알케미 머신에서 언락할 수 있습니다. 7. 에서 설명하겠습니다.
3. 적의 내습.
(1) 어지간한 적은 도망 가능.
거미 / 촉수 괴물 / 나무 괴물 등은 어지간하면 도망갈 수 있습니다. 대충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1:1로 싸우면 해볼만하지만 그 이상이면 멀리 도망가서 기회를 보다가 하나만 쫓아올 때 때리고 그럼 됩니다.
(2) 빠른 적은 싸워서 이겨야.
멧돼지처럼 생긴 하운드는 도망가기 힘듭니다. (도망갈 수 있긴 할겁니다.) 갑자기 3마리정도 동시에 나타나는 얘네는, 뺑뺑이 돌면서 떨어진 애들 따로 따로 해치우는 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3) 촉수 괴물 / 나무 괴물, (초반 상대로는) 무지 강함.
도망가세요. 나중에 이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어쨌건 저는 다 죽었습니다. 늪지대에서 나타나는 촉수 괴물은 도망가면 쫓아오지 않으니 다행. 나무 괴물은 쫓아오긴 하는데 워낙 느려서 회피 가능합니다. 밤이라면 토치(torch) 들고 다녀야죠.
(4) 헬쓰가 줄면 보충해야.
초반에는 꽃 40개 채워들고 다니다 하나씩 뜯어먹으며 1씩 올려야죠. 씨앗이 그나마 더 주니까 초반에는 씨앗 구워다니기도 해야 하고요.
4. 밤에는 불을 켜야 함.
(1) 완전히 어두워지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공격을 받아 헬쓰가 깎인다.
정말 아무것도 안 보입니다. 그리고 알 수 없는 미지의 공격을 받아 헬쓰가 깎입니다. 그래서 밤에는 무조건 불을 피워야 합니다.
(2) 모닥불 vs 화덕 vs 토치
모닥불은 자원을 조금 먹는 대신 모두 타버리면 없어집니다. 화덕은 자리가 남아 지도에 표시도 되고, 이후에 연료만 넣으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둘 다 연료 하나로 밤을 꼬박 새긴 힘듭니다. 토치는 들고 다닐 수 있는 횃불입니다. 밤에 가만히 있기 애매한데 탐험하고 싶으면 들고다닐 수 있는데, 손에 장비하기 때문에 다른 장비를 쓸 수 없으니 주의. 탐험하다 갑자기 토치 필요할 수 있으니 기본 재료는 들고다니는 것도 좋습니다.
(3) 밤에 할 수 있는 일.
조합 가능한 도구를 이용해 그냥 잘 수도 있는데, 안 자고 일해도 되는데다 자고나면 공복이 커지니 어지간하면 일하시고요. 일단 모닥불이나 화덕에 요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초반에는 채집한 먹거리들 밤에 구워두는게 좋습니다. 화력을 좀 강하게 해두면 보이는 영역이 늘어나므로, 나무 캐기나 재배용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자원 조합해 다른걸 만들 수도 있고요. 대부분의 행동이 일정 시간을 사용하므로, 돌아다니며 낮에 하기에는 시간 아까운 아이템 조합 등을 밤에 하는 것도 좋습니다.
5. '소'를 찾아라.
(1) 소는 '덩'을 주는 좋은 존재.
'덩'은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특히 풀 / 산딸기 나무 등을 옮겨심은 후 '덩'으로 비료를 줘야만 하니, '덩'을 주는 소 군락지 근처에 정착하는건 당연한 일이겠습니다. 옮겨 심은 산딸기 나무에서 작게 열매가 열린걸 따면 다시 '덩' 줘야 하니, 큰 다음에 따세요.
(2) '소'를 찾는게 어려울지도 모른다.
제가 10번 좀 안 되게 해봤는데 이번 플레이에서야 '소'를 찾았습니다. [돈 스타브]의 맵은 의외로 넓은데, 큰 원 5개가 서로 맞물리거나 길로 연결된 식입니다. 즉 초반 플레이에서 소를 만날 수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월드를 다시 만들지 않는 이상 맵은 그대로 유지되니까 열심히 찾아보시고, 정 아니다 싶으면 월드 다시 만들면서 진행해보세요. '소'를 찾기 전에는 10일도 버티기 힘들었는데 '소' 찾고 나서 지금 50일째입니다...
6. 맵은 자동 생성. 하지만 기존 맵으로 계속 플레이 가능.
(1) 유리하다 싶은 맵은 계속 사용, 아니다 싶으면 다시 생성.
이건 설명 안해도 아실거고요...
(2) 맵에 주요한 사항은 표시된다.
거미 집 / 산딸기 나무 / 풀 / 만들어둔 함정 등의 위치 표시됩니다. 이걸 이용해, 돼지 집 / 소 군락지 같은 중요한 거점에 함정을 두면 표시가 가능합니다. 자주 갈거 같으면 아예 화덕 까는 것도 좋고요.
7. 리서치(연구, research)의 중요함.
(1) 게임 오버 후 리서치 점수 / 결과 연동.
게임 오버 당하면 모든게 리셋되지만, 리서치 점수와 그 결과는 연동이 됩니다. (점수는 확실히 되고 결과는 아리까리한데...) 고로 가능하면 리서치 점수를 올려두는게 좋습니다.
(2) 리서치 점수는 기계에 자원을 희생시켜 얻음.
연구 기계와 알케미 기계에 자원을 넣으면 리서치 점수가 올라갑니다. 일반 자원은 3 정도밖에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삽으로 판 풀뿌리는 20 줍니다! 만약 풀이 엄청 많이 자란 자리를 본다면 풀 뿌리 마구 뽑아 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단 완전히 없애버리면 풀 자원 채취가 불가능해지니 주의.) 그 외 묘지 등을 삽으로 파서 나온 아이템도 80 정도 줄겁니다.
(3) 알케미 기계.
알케미 기계는 일반 기계보다 훨씬 좋은 조합을 줍니다. 고로 일반 기계에서 얻을만한거 다 얻었으면 빠르게 알케미 기계를 짓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농사 지으려면 '터보 밭' 매우 빨리 자라므로 중요합니다. 그냥 '터보 밭'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http://www.dontstarvegame.com/blog/
1. 굶지 마라. (Don't starve)
(1) 채집
산딸기 / 당근 등을 채집할 수 있습니다. 당근은 랜덤하게 떨어져있고 줏으면 사라집니다. 산딸기 나무는 그 자리에서 며칠 뒤 다시 열매가 열립니다. 단 '산딸기 나무' 등의 식물을 삽으로 파서 옮기면 '덩'을 주어야 다시 열리니, 4번에서 얘기할 '소'의 군락지를 찾기 전 초반에는 옮겨심지 마세요. 씨앗도 먹을 수 있지만 (3)에서 얘기할 재배에 쓸 수도 있습니다. 초반에는 구워 먹다가 나중에 재배용으로 쓰면 됩니다.
(2) 사냥
토끼 / 새 모두 매우 빨라서 직접 때리려고 가면 대부분 실패합니다. 그래서 함정을 놓습니다. 사실 함정을 놓아도 잘 잡히지는 않고, 당근(토끼) / 씨앗(새)의 미끼를 두면 잘 잡힌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함정 6-7개 깔아두고 왔다갔다 하다보면 알아서 잡혀있고 그렇습니다. 함정 멀리 두면 왔다갔다 귀찮으니 저는 거주지 바로 옆에 두곤 했습니다. <함정에 잡히는 빈도 등은 패치될것도 같음..>
(3) 재배
4.에서 얘기할 '소'의 '덩'이 있어야만 밭을 일굴 수 있습니다. 알케미 엔진(Alchemy Engine)에서 얻을 수 있는 터보 밭이 최고입니다. 씨앗을 놓아야 하고, '덩'으로 거름주면 빨리 자랍니다. 특히 터보 밭은 '덩'을 주면 곧바로 재배 가능합니다.
(4) 요리(cook)
모든 음식물은 요리할 수 있습니다. 밤에 켜는 모닥불(campfire) / 화덕(fire pit) 이상에서 요리할 수 있고요. 연구로 알 수 있는 솥은 4가지 음식물을 넣어 더 좋은 음식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주의할 점은 몬스터 고기는 그냥 먹어도 / 불에 구워 먹어도 헬쓰가 깎이지만, 솥에 4가지 음식물 넣는 것으로 일반 요리로 만들 수 있습니다.
(5) 헬쓰 올리기.
적에게 공격을 받거나 하면 헬쓰가 줄고, 헬쓰가 0이 되면 죽고 리서치 결과와 포인트 외에 모두 잃은 후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먹는걸로 헬쓰를 올릴 수 있긴 한데요. 꽃은 헬쓰만 1, 그리고 씨앗 계열이 헬쓰를 올려줍니다. 씨앗으로 밭에서 재배한 채소와 불에 구운 것 / 솥에서 나온 음식이 훨씬 많이 올려줍니다. 극초반에는 꽃 뜯어 먹다가 나중에 재배한 채소와 불에 구운 것 등을 먹으면 됩니다.
2. 자원 수집 및 조합.
(1) 그냥 채집.
풀 / 꽃 등은 그냥 채집이 가능합니다. 가서 눌러보시면 아실겁니다. 자원에 따라 40개까지 겹쳐 쌓을 수도 있고, 10 / 20개까지 제한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냥 채집은 40개, 도구가 필요한 채집은 20개로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2) 도구가 필요한 채집.
나무 자르려면 도끼가 필요하고, 돌 채굴하려면 곡괭이가 필요하고 그렇습니다. 이건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3) 사냥 / 전투 등의 부산물.
동물이나 괴물이 죽으면 드랍합니다. 어디에 쓰는 자원인지는 표 보면 아실겁니다. 몬스터 고기는 그냥 먹어도 불에 구워 먹어도 헬쓰를 많이 깎으니 주의. 몬스터 고기는 솥에 넣고 만든 음식만 헬쓰 안 깎음
(4) 소의 '덩'.
소의 거주지를 무조건 찾아야 되는 이유는, 소가 '덩'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덩'이 있어야 밭을 일굴 수도 있고, 풀 등을 가져와 심은 후 비료를 줘 생산 가능합니다. 돼지도 준다는데 돼지는 먹을걸 줘야 생산한다하고 밤에는 웨어피그로 변해 공격한다고도 하니, 소가 최고입니다. 소는 자동으로 '덩'을 생산하고 선공을 하지도 않습니다.
(5) 불탄 부산물. 석탄 외 괴물들 드랍.
나무 옆에 모닥불을 놓은 후 화력을 높여 옮겨붙으면 탄 나무만 남고, 거기에 도끼질을 하면 석탄이 생깁니다. 진짜 산불처럼 커져 울창한 숲이 모두 타버릴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도 화상을 입으므로 재빨리 도망갑니다. 거미 집 등을 공격하기 위해 일부러 주변에 나무 울창하게 심은 후 불지르고 도망가는 것도 방법입니다만, 거미 집이 없어져도 거미들은 살아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6) 조합.
자원을 모으는 이유는 조합을 해 도구 등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좌측 세로 메뉴에서 레시피마다 필요한 자원을 다 보여주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나무 / 풀 / 돌은 묶어서 상위 자원을 만들 수도 있으니 찾아보시면 좋을 겁니다. 대부분의 추가 조합은 리서치 포인트를 사용해 일반 기계 / 알케미 머신에서 언락할 수 있습니다. 7. 에서 설명하겠습니다.
3. 적의 내습.
(1) 어지간한 적은 도망 가능.
거미 / 촉수 괴물 / 나무 괴물 등은 어지간하면 도망갈 수 있습니다. 대충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1:1로 싸우면 해볼만하지만 그 이상이면 멀리 도망가서 기회를 보다가 하나만 쫓아올 때 때리고 그럼 됩니다.
(2) 빠른 적은 싸워서 이겨야.
멧돼지처럼 생긴 하운드는 도망가기 힘듭니다. (도망갈 수 있긴 할겁니다.) 갑자기 3마리정도 동시에 나타나는 얘네는, 뺑뺑이 돌면서 떨어진 애들 따로 따로 해치우는 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3) 촉수 괴물 / 나무 괴물, (초반 상대로는) 무지 강함.
도망가세요. 나중에 이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어쨌건 저는 다 죽었습니다. 늪지대에서 나타나는 촉수 괴물은 도망가면 쫓아오지 않으니 다행. 나무 괴물은 쫓아오긴 하는데 워낙 느려서 회피 가능합니다. 밤이라면 토치(torch) 들고 다녀야죠.
(4) 헬쓰가 줄면 보충해야.
초반에는 꽃 40개 채워들고 다니다 하나씩 뜯어먹으며 1씩 올려야죠. 씨앗이 그나마 더 주니까 초반에는 씨앗 구워다니기도 해야 하고요.
4. 밤에는 불을 켜야 함.
(1) 완전히 어두워지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공격을 받아 헬쓰가 깎인다.
정말 아무것도 안 보입니다. 그리고 알 수 없는 미지의 공격을 받아 헬쓰가 깎입니다. 그래서 밤에는 무조건 불을 피워야 합니다.
(2) 모닥불 vs 화덕 vs 토치
모닥불은 자원을 조금 먹는 대신 모두 타버리면 없어집니다. 화덕은 자리가 남아 지도에 표시도 되고, 이후에 연료만 넣으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둘 다 연료 하나로 밤을 꼬박 새긴 힘듭니다. 토치는 들고 다닐 수 있는 횃불입니다. 밤에 가만히 있기 애매한데 탐험하고 싶으면 들고다닐 수 있는데, 손에 장비하기 때문에 다른 장비를 쓸 수 없으니 주의. 탐험하다 갑자기 토치 필요할 수 있으니 기본 재료는 들고다니는 것도 좋습니다.
(3) 밤에 할 수 있는 일.
조합 가능한 도구를 이용해 그냥 잘 수도 있는데, 안 자고 일해도 되는데다 자고나면 공복이 커지니 어지간하면 일하시고요. 일단 모닥불이나 화덕에 요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초반에는 채집한 먹거리들 밤에 구워두는게 좋습니다. 화력을 좀 강하게 해두면 보이는 영역이 늘어나므로, 나무 캐기나 재배용 농사를 지을 수 있습니다. 자원 조합해 다른걸 만들 수도 있고요. 대부분의 행동이 일정 시간을 사용하므로, 돌아다니며 낮에 하기에는 시간 아까운 아이템 조합 등을 밤에 하는 것도 좋습니다.
5. '소'를 찾아라.
(1) 소는 '덩'을 주는 좋은 존재.
'덩'은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특히 풀 / 산딸기 나무 등을 옮겨심은 후 '덩'으로 비료를 줘야만 하니, '덩'을 주는 소 군락지 근처에 정착하는건 당연한 일이겠습니다. 옮겨 심은 산딸기 나무에서 작게 열매가 열린걸 따면 다시 '덩' 줘야 하니, 큰 다음에 따세요.
(2) '소'를 찾는게 어려울지도 모른다.
제가 10번 좀 안 되게 해봤는데 이번 플레이에서야 '소'를 찾았습니다. [돈 스타브]의 맵은 의외로 넓은데, 큰 원 5개가 서로 맞물리거나 길로 연결된 식입니다. 즉 초반 플레이에서 소를 만날 수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월드를 다시 만들지 않는 이상 맵은 그대로 유지되니까 열심히 찾아보시고, 정 아니다 싶으면 월드 다시 만들면서 진행해보세요. '소'를 찾기 전에는 10일도 버티기 힘들었는데 '소' 찾고 나서 지금 50일째입니다...
6. 맵은 자동 생성. 하지만 기존 맵으로 계속 플레이 가능.
(1) 유리하다 싶은 맵은 계속 사용, 아니다 싶으면 다시 생성.
이건 설명 안해도 아실거고요...
(2) 맵에 주요한 사항은 표시된다.
거미 집 / 산딸기 나무 / 풀 / 만들어둔 함정 등의 위치 표시됩니다. 이걸 이용해, 돼지 집 / 소 군락지 같은 중요한 거점에 함정을 두면 표시가 가능합니다. 자주 갈거 같으면 아예 화덕 까는 것도 좋고요.
7. 리서치(연구, research)의 중요함.
(1) 게임 오버 후 리서치 점수 / 결과 연동.
게임 오버 당하면 모든게 리셋되지만, 리서치 점수와 그 결과는 연동이 됩니다. (점수는 확실히 되고 결과는 아리까리한데...) 고로 가능하면 리서치 점수를 올려두는게 좋습니다.
(2) 리서치 점수는 기계에 자원을 희생시켜 얻음.
연구 기계와 알케미 기계에 자원을 넣으면 리서치 점수가 올라갑니다. 일반 자원은 3 정도밖에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삽으로 판 풀뿌리는 20 줍니다! 만약 풀이 엄청 많이 자란 자리를 본다면 풀 뿌리 마구 뽑아 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단 완전히 없애버리면 풀 자원 채취가 불가능해지니 주의.) 그 외 묘지 등을 삽으로 파서 나온 아이템도 80 정도 줄겁니다.
(3) 알케미 기계.
알케미 기계는 일반 기계보다 훨씬 좋은 조합을 줍니다. 고로 일반 기계에서 얻을만한거 다 얻었으면 빠르게 알케미 기계를 짓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농사 지으려면 '터보 밭' 매우 빨리 자라므로 중요합니다. 그냥 '터보 밭'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Comments
2012-12-08 16:27:44
비공개 댓글입니다.
2012-12-08 23:35:09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