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어드벤쳐는 죽었던 적도 없고, 그래서 부활할 일도 없습니다.
네. 어드벤쳐는 죽었던 적이 없습니다. 단지 달라졌을 뿐입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어드벤쳐에 관련된 글만 쓰면 '그때가 그립다'는 식의 '과거 회상형'이 반에, '루카스아츠(LucasArts)가 돌아왔으면 좋겠다'가 나머지 반입니다.
그나마 어드벤쳐를 좀 잘 아는 사람이 '아니다 죽은적 없다'고 써도, 90% 이상의 확률로 '하지만 고전 어드벤쳐가 부활했으면 좋겠어요'나 '루카스아츠의 재림을 기대합니다!' 같은 뻘플이 달립니다. 심지어 좀 안다 싶은 사람들도 비슷한 반응을 보일 때가 종종 있는데, 그런 반응 보면 아주 엄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이건, 오해를 넘어 무지, 그리고 아집과 폭력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 고전 어드벤쳐의 부활 : 이미 이루어졌다, 아니 원래 진행중이었다.
'옛날 스타일의 어드벤쳐'라면 인디에서 엄청나게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예 AGS 엔진은, 그 시대 그래픽에 특화된 엔진이고요. AGS로 만들어진 어드벤쳐 등록된 DB를 보면, 908개가 나옵니다. 숫자만 봐도 어마어마하죠? 물론 저중에는 졸작 / 습작도 꽤 있겠습니다만, 이바닥 좀 들여다본 사람들은 알만한 명작 / 걸작 급 게임들도 많이 있습니다. (굳이 이름을 따로 적지는 않겠습니다.)
게다가 이쪽의 태반은 '프리웨어', 즉 '무료 게임'입니다. 원하면 받아서 얼마든지 해볼 수 있는 게임들이죠. 더불어 돈을 받고 판매하는 '상용' 게임도 은근히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프리웨어 제작 툴이 AGS만 있는 것도 아닌지라,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어드벤쳐까지 합하면 훨씬 더 많아집니다.
고전 스타일의 어드벤쳐는 이미 엄청 많이 나오고 있는데, 대체 여기서 뭘 더 바라는 겁니까?
- 루카스아츠의 부활 : 회사 스스로 포기했다.
애초부터 루카스아츠는 어드벤쳐 전문회사라기 보다, 이런 저런 게임 다 만들던 데였습니다. 어드벤쳐 게임은 14개 정도밖에 만들지 않았는데, 최근 몇 년간 나온 '스타워즈' 게임들 세보면 그것보다 많습니다. 솔직히 어드벤쳐 회사라기 보다, [스타워즈] 게임 회사에 더 가깝다고 봐야 할 정도.
이유는 간단합니다. 애초부터 루카스아츠 회사 자체는 어드벤쳐에 대한 거시기가 있던 적도 없습니다. 어드벤쳐는 그들의 사업 중 일부일 뿐이었고, 단지 그 일부가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입니다.
그런거 다 떠나 부활을 바란다 쳐도, [샘 앤 맥스(Sam & Max)]와 [풀 스로틀(Full Throttle)] 속편 제작을 중단한건 그들 자신입니다. 외부에서 압력 넣은 적 없고, 그들 스스로 만들다가 '장사 안되겠구나' 싶어서 접은 겁니다. (저는 그 당시의 예고편이 들어간 DVD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샘 앤 맥스]는 텔테일 게임즈(Telltale Games)로 넘어가 대박치는 중입니다.
또한 시에라는, '컴필레이션' 시리즈를 내놓으며 장렬하게 자폭. 일고의 가치조차 없는 수준인듯.
- 옛날에 유명했던 디자이너들은 노나? : 일하거나 / 일했거나 / 일하는척 하는 중.
과거 유명 제작자의 신작을 보고 싶다? 팀 샤퍼(Tim Schafer)의 [싸이코너츠(Psychonauts)]는 사셨나요? 어드벤쳐가 아니라서 안 샀다고요? 싹 망한건 사실이지만, '고전 어드벤쳐 만들던 그 때 제작자' 어쩌고 하려면 일단 사야죠. PS3로 나올 신작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론 길버트(Ron Gilbert) 이름이 박혀있는 [페니 아케이드 어드벤쳐스 : 온 더 레인-슬릭 프리시피스 오브 다크니스(Penny Arcade Adventures: On the Rain-Slick Precipice of Darkness)] 에피소드 1는 어떻고요? 플레이타임이 6시간 밖에 안되는 RPG라는 점이 매우 거식하지만, 센스 하나만큼은 발군입니다. 설마 패키지가 없으니 안 사겠다? 애초부터 패키지 방식의 발매가 아님. 이것이 '오리지날'이고 '원본'입니다.
- 어드벤쳐의 새로운 변화 : 캐주얼 게임으로의 움직임.
얼마전 올라온 머스컴(Merscom)과의 인터뷰나 [아자다(Azada)]의 리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캐주얼 게임' 계에서 '어드벤쳐 게임'에 대한 사업적 움직임이 확실히 있습니다. 인터뷰에서도 볼 수 있듯, 둘은 '주 대상 고객'을 포함한 공통점이 여럿 있기 때문이죠. 그 기세를 빌어, [블랙웰 레가시(Blackwell Legacy)]의 와드젯 아이 게임즈(Wadjet Eye Games)도 캐주얼 어드벤쳐 제작을 위한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변화고, (상업적으로 볼때) 굉장히 좋은 움직임입니다. 이미 캐주얼 게임들이 터닦아 놓은 곳에, 나름대로의 진화와 변화를 거쳐 입성하는 거니까요. 그 외의 일반 어드벤쳐 게임들도, 캐주얼 마켓의 다운로드 판매 시장에 들어가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왜? 그쪽이 새롭고 좋은 시장이 될 수 있으니까겠죠.
이렇게 산업적으로 좋은 변화가 벌어지고 있는데, 왜 눈도 귀도 닫은채 아집 투성이가 되어 '어드벤쳐의 부활' 어쩌고만 하는 걸까요?
애초부터 어드벤쳐 장르는 죽었던 적도 없고, 나름대로 생태계를 이루며 발전과 진화를 이뤄온데다가, 최근에는 '캐주얼 게임' 쪽을 통해 또 다른 뻗어나갈 길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구시대 어드벤쳐 게이머'들은, 대체 뭘 더 바라는 걸까요?
그나마 어드벤쳐를 좀 잘 아는 사람이 '아니다 죽은적 없다'고 써도, 90% 이상의 확률로 '하지만 고전 어드벤쳐가 부활했으면 좋겠어요'나 '루카스아츠의 재림을 기대합니다!' 같은 뻘플이 달립니다. 심지어 좀 안다 싶은 사람들도 비슷한 반응을 보일 때가 종종 있는데, 그런 반응 보면 아주 엄합니다.
솔직히 말해서 이건, 오해를 넘어 무지, 그리고 아집과 폭력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 고전 어드벤쳐의 부활 : 이미 이루어졌다, 아니 원래 진행중이었다.
'옛날 스타일의 어드벤쳐'라면 인디에서 엄청나게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예 AGS 엔진은, 그 시대 그래픽에 특화된 엔진이고요. AGS로 만들어진 어드벤쳐 등록된 DB를 보면, 908개가 나옵니다. 숫자만 봐도 어마어마하죠? 물론 저중에는 졸작 / 습작도 꽤 있겠습니다만, 이바닥 좀 들여다본 사람들은 알만한 명작 / 걸작 급 게임들도 많이 있습니다. (굳이 이름을 따로 적지는 않겠습니다.)
게다가 이쪽의 태반은 '프리웨어', 즉 '무료 게임'입니다. 원하면 받아서 얼마든지 해볼 수 있는 게임들이죠. 더불어 돈을 받고 판매하는 '상용' 게임도 은근히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프리웨어 제작 툴이 AGS만 있는 것도 아닌지라,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어드벤쳐까지 합하면 훨씬 더 많아집니다.
고전 스타일의 어드벤쳐는 이미 엄청 많이 나오고 있는데, 대체 여기서 뭘 더 바라는 겁니까?
- 루카스아츠의 부활 : 회사 스스로 포기했다.
애초부터 루카스아츠는 어드벤쳐 전문회사라기 보다, 이런 저런 게임 다 만들던 데였습니다. 어드벤쳐 게임은 14개 정도밖에 만들지 않았는데, 최근 몇 년간 나온 '스타워즈' 게임들 세보면 그것보다 많습니다. 솔직히 어드벤쳐 회사라기 보다, [스타워즈] 게임 회사에 더 가깝다고 봐야 할 정도.
이유는 간단합니다. 애초부터 루카스아츠 회사 자체는 어드벤쳐에 대한 거시기가 있던 적도 없습니다. 어드벤쳐는 그들의 사업 중 일부일 뿐이었고, 단지 그 일부가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을 뿐입니다.
그런거 다 떠나 부활을 바란다 쳐도, [샘 앤 맥스(Sam & Max)]와 [풀 스로틀(Full Throttle)] 속편 제작을 중단한건 그들 자신입니다. 외부에서 압력 넣은 적 없고, 그들 스스로 만들다가 '장사 안되겠구나' 싶어서 접은 겁니다. (저는 그 당시의 예고편이 들어간 DVD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샘 앤 맥스]는 텔테일 게임즈(Telltale Games)로 넘어가 대박치는 중입니다.
또한 시에라는, '컴필레이션' 시리즈를 내놓으며 장렬하게 자폭. 일고의 가치조차 없는 수준인듯.
- 옛날에 유명했던 디자이너들은 노나? : 일하거나 / 일했거나 / 일하는척 하는 중.
과거 유명 제작자의 신작을 보고 싶다? 팀 샤퍼(Tim Schafer)의 [싸이코너츠(Psychonauts)]는 사셨나요? 어드벤쳐가 아니라서 안 샀다고요? 싹 망한건 사실이지만, '고전 어드벤쳐 만들던 그 때 제작자' 어쩌고 하려면 일단 사야죠. PS3로 나올 신작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론 길버트(Ron Gilbert) 이름이 박혀있는 [페니 아케이드 어드벤쳐스 : 온 더 레인-슬릭 프리시피스 오브 다크니스(Penny Arcade Adventures: On the Rain-Slick Precipice of Darkness)] 에피소드 1는 어떻고요? 플레이타임이 6시간 밖에 안되는 RPG라는 점이 매우 거식하지만, 센스 하나만큼은 발군입니다. 설마 패키지가 없으니 안 사겠다? 애초부터 패키지 방식의 발매가 아님. 이것이 '오리지날'이고 '원본'입니다.
- 어드벤쳐의 새로운 변화 : 캐주얼 게임으로의 움직임.
얼마전 올라온 머스컴(Merscom)과의 인터뷰나 [아자다(Azada)]의 리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캐주얼 게임' 계에서 '어드벤쳐 게임'에 대한 사업적 움직임이 확실히 있습니다. 인터뷰에서도 볼 수 있듯, 둘은 '주 대상 고객'을 포함한 공통점이 여럿 있기 때문이죠. 그 기세를 빌어, [블랙웰 레가시(Blackwell Legacy)]의 와드젯 아이 게임즈(Wadjet Eye Games)도 캐주얼 어드벤쳐 제작을 위한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변화고, (상업적으로 볼때) 굉장히 좋은 움직임입니다. 이미 캐주얼 게임들이 터닦아 놓은 곳에, 나름대로의 진화와 변화를 거쳐 입성하는 거니까요. 그 외의 일반 어드벤쳐 게임들도, 캐주얼 마켓의 다운로드 판매 시장에 들어가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습니다. 왜? 그쪽이 새롭고 좋은 시장이 될 수 있으니까겠죠.
이렇게 산업적으로 좋은 변화가 벌어지고 있는데, 왜 눈도 귀도 닫은채 아집 투성이가 되어 '어드벤쳐의 부활' 어쩌고만 하는 걸까요?
애초부터 어드벤쳐 장르는 죽었던 적도 없고, 나름대로 생태계를 이루며 발전과 진화를 이뤄온데다가, 최근에는 '캐주얼 게임' 쪽을 통해 또 다른 뻗어나갈 길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구시대 어드벤쳐 게이머'들은, 대체 뭘 더 바라는 걸까요?
Comments
2008-06-27 12:12:14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6-27 12:22:37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6-27 13:28:40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6-27 18:37:54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6-28 13:07:43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6-30 14:09:36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8-07-01 11:43:27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