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게임은 무조건 '글로벌'.
글로벌(Global)이라고 하니 거창해 보이지만, 알고보면 별거 아닙니다.
한국인이 아닌 해외 사람들도 (손쉽게)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것.
딱 거기까지만 하면, 인디게임의 글로벌인 것입니다.
1. 게임의 언어 : 영어 및 다른 외국어들.
그나마 IGF에 출품되는 게임들은 영어로 작성을 하는 듯 싶습니다만... 그 외에는 신경 별로 쓰지 않는 느낌도 드네요. (그 이전에 배포 자체가 안되고 있지만.)
사실 가능하다면, 되도록 많은 언어를 지원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언제쯤 다루게 될지는 미지수지만, 어디선가 만들어지는 해외의 모 플래시 게임은 '한글'도 지원합니다. (폰트와 번역 수준도 괜찮은 편.) 그 외 2-30개 언어를 자막으로 넣었고, 음성은 영어 / 일어 2종류. 이건 좀 심한 경우지만, 최소한 영어는 넣어야 뭐가 통하죠.
2. 게임의 배포 : 일단 배포는 되어야 하고, 외국인들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에서 만들어진 인디 게임, 그 중에서 모 공모전에 출품된건 거의 해볼 길이 없었고, IGF에 출품되었던 게임들도... 제때 공개되지 않은 것이 참 많았드랬죠.
그나마 공개한 곳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해보고 싶을만큼의 접근성을 지닌 곳은,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요? 홈페이지가 없는 것 보다는 있는게 좋지만, 단순 홈페이지만 있다고 다 되는게 아닙니다.
외국인들 제로보드 안 쓰고 / 그게 뭔지도 모릅니다. 제로보드는 무조건 쓰지 마시고, 포럼 달고 싶다면 차라리 phpbb / punbb 류를 갖다 다세요. (아니 그 이전에, 포럼 달 이유가 별로 없음. 어차피 쪼렙 홈페이지 포럼은 가입도 작성도 안함.) 블로그 워드프레스에라도 만들어서, 대충 메뉴 꾸미고 파일 / 스크린샷 거는게 훨씬 좋습니다. 당연한 소리지만, 외국인들 대상으로 네이버 블로그 쓰지 마시고.
3. 편의 : 무조건 외국인들 방식에 맞춰서.
대단한 얘기가 아니라, 매우 단순한 겁니다.
인터넷 강제 연결하지 마시고 유저 선택 연결 하세요. 정보 새나가는 스파이웨어 같은 것 때문에 매우 경계합니다. 사양 되도록 낮추세요. 모든 이들이 고사양 컴퓨터 갖고 있는거 아닙니다. 파일 전체 크기 되도록 줄이세요. 한국만큼 회선 좋은거 아닙니다. (심지어 전화 연결도 있습니다.) 지포스에서만 가능한 기능 쓰면, 라데온은 다 버리는 겁니다.
이런 부분 많다면 많은데, 얘기 듣고 고찰하며 연구하면 대충 알게 됩니다.
4. 한국에서 어차피 안 팔립니다. : 그나마 해외는 팔립니다.
물론 만들어 놓으면 알아서 팔리지 않습니다. 나름대로 홍보 / 마케팅 필요하고, 캐리어 쌓는거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래봤자, 한국에서는 절대 팔리지 않습니다. dc나 웃대를 폄하하는건 아니지만, 그쪽에서 아무리 유명해져봤자 판매와 절대 관련 없습니다. (그냥 유명만 해지겠다 쳐도, 해외까지 따지면 몇 배로 규모가 늘어납니다.)
시작부터 해외 노리는게 맞습니다. 그쪽도 복사니 뭐니 존재하고, 안 유명한 게임은 무관심 속에 묻힙니다만, 그래도 팔리는 건 팔립니다. 그리고 Pig-Min의 운영자 광님은, 어떻게 해야 잘 팔리는지 까지는 아직 모른다쳐도 / 어느정도의 명성과 인정을 받는 방법까지는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적게 된 이유는,
(지금 기획중인 일이 성사된다면) 나중에 공개되며 알 수 있으시게 될 것입니다.
P.S. : '제 게임을 어떻게 알려야될지 모르겠어요' 식의 리플 달지 마세요. 저도 모르는 게임, 도대체 한국이건 해외건 누가 알겠음? 차라리 소개 메일을 보내세요.
한국인이 아닌 해외 사람들도 (손쉽게)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것.
딱 거기까지만 하면, 인디게임의 글로벌인 것입니다.
1. 게임의 언어 : 영어 및 다른 외국어들.
그나마 IGF에 출품되는 게임들은 영어로 작성을 하는 듯 싶습니다만... 그 외에는 신경 별로 쓰지 않는 느낌도 드네요. (그 이전에 배포 자체가 안되고 있지만.)
사실 가능하다면, 되도록 많은 언어를 지원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언제쯤 다루게 될지는 미지수지만, 어디선가 만들어지는 해외의 모 플래시 게임은 '한글'도 지원합니다. (폰트와 번역 수준도 괜찮은 편.) 그 외 2-30개 언어를 자막으로 넣었고, 음성은 영어 / 일어 2종류. 이건 좀 심한 경우지만, 최소한 영어는 넣어야 뭐가 통하죠.
2. 게임의 배포 : 일단 배포는 되어야 하고, 외국인들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한국에서 만들어진 인디 게임, 그 중에서 모 공모전에 출품된건 거의 해볼 길이 없었고, IGF에 출품되었던 게임들도... 제때 공개되지 않은 것이 참 많았드랬죠.
그나마 공개한 곳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해보고 싶을만큼의 접근성을 지닌 곳은, 과연 얼마나 되었을까요? 홈페이지가 없는 것 보다는 있는게 좋지만, 단순 홈페이지만 있다고 다 되는게 아닙니다.
외국인들 제로보드 안 쓰고 / 그게 뭔지도 모릅니다. 제로보드는 무조건 쓰지 마시고, 포럼 달고 싶다면 차라리 phpbb / punbb 류를 갖다 다세요. (아니 그 이전에, 포럼 달 이유가 별로 없음. 어차피 쪼렙 홈페이지 포럼은 가입도 작성도 안함.) 블로그 워드프레스에라도 만들어서, 대충 메뉴 꾸미고 파일 / 스크린샷 거는게 훨씬 좋습니다. 당연한 소리지만, 외국인들 대상으로 네이버 블로그 쓰지 마시고.
3. 편의 : 무조건 외국인들 방식에 맞춰서.
대단한 얘기가 아니라, 매우 단순한 겁니다.
인터넷 강제 연결하지 마시고 유저 선택 연결 하세요. 정보 새나가는 스파이웨어 같은 것 때문에 매우 경계합니다. 사양 되도록 낮추세요. 모든 이들이 고사양 컴퓨터 갖고 있는거 아닙니다. 파일 전체 크기 되도록 줄이세요. 한국만큼 회선 좋은거 아닙니다. (심지어 전화 연결도 있습니다.) 지포스에서만 가능한 기능 쓰면, 라데온은 다 버리는 겁니다.
이런 부분 많다면 많은데, 얘기 듣고 고찰하며 연구하면 대충 알게 됩니다.
4. 한국에서 어차피 안 팔립니다. : 그나마 해외는 팔립니다.
물론 만들어 놓으면 알아서 팔리지 않습니다. 나름대로 홍보 / 마케팅 필요하고, 캐리어 쌓는거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래봤자, 한국에서는 절대 팔리지 않습니다. dc나 웃대를 폄하하는건 아니지만, 그쪽에서 아무리 유명해져봤자 판매와 절대 관련 없습니다. (그냥 유명만 해지겠다 쳐도, 해외까지 따지면 몇 배로 규모가 늘어납니다.)
시작부터 해외 노리는게 맞습니다. 그쪽도 복사니 뭐니 존재하고, 안 유명한 게임은 무관심 속에 묻힙니다만, 그래도 팔리는 건 팔립니다. 그리고 Pig-Min의 운영자 광님은, 어떻게 해야 잘 팔리는지 까지는 아직 모른다쳐도 / 어느정도의 명성과 인정을 받는 방법까지는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글을 적게 된 이유는,
(지금 기획중인 일이 성사된다면) 나중에 공개되며 알 수 있으시게 될 것입니다.
P.S. : '제 게임을 어떻게 알려야될지 모르겠어요' 식의 리플 달지 마세요. 저도 모르는 게임, 도대체 한국이건 해외건 누가 알겠음? 차라리 소개 메일을 보내세요.
Comments
2009-05-22 12:24:41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9-05-23 19:38:36
비공개 댓글입니다.
2009-05-23 20:25:20
비공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