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는 게이머 8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7) 스스로 정리하며 쌓아보기.
모든 자료를 모으고 읽는 것은 힘들거나 혹은 불가능합니다. 특히 한국에서 벌어진 게임 관련 탄압사는 게등위 - 여가부 때도 너무나 많았고, 최근 교과부와 조선일보의 크로스는 '쏟아내는' 수준이라 따라잡기조차 힘듭니다. 어찌 보자면...
생각하는 게이머 7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6) 정부 관련 자료.
넓게 보자면 '게임 vs 세상'이지만, 좁게 보자면 '게임 vs 정부'입니다. 정부는 어떤 자료를 갖고 어떻게 움직이는지 조금이라도 살펴볼 방법은 정부가 발표한 자료를 보는 것입니다. 정부 스스로가 움직이는 관련근거 중 하나로...
생각하는 게이머 6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5) 게임에 관해 무슨 자료를 읽고 생각해야 할 것인가?
현실적으로 한국에 한국어로 발간된 게임 관련 자료 대부분은 개발 실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책들이 대부분이고, 일부 잡지나 공략본이 좀 나와있습니다. 최근 유행에 맞추어 게임 중독에 관련된 부모님 대상 서적이 많이 나오고...
생각하는 게이머 5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4) 귄위자를 내세운 자료나 관련 근거가 많으면(있으면 - 있어보이면) 이상한 관점이라도 옳아보일 수 있다.
여가부 이전까지 올라가면 너무 많으니, 2012년 교과부와 조선일보의 움직임만 얘기해보겠습니다. 특히 교과부는 2일에 1번 정도 큰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그 중 '권위자'가 들어간 부분만 꼽아도 '뇌 전문가와 게임 중독 간담회'와...
생각하는 게이머 4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3) 실제 체험이라도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조선일보 기사 중 2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게임, 또다른 마약 ②] 4년간 하루 14시간씩 게임… "난 현실서 죽은 존재였다" - 2012/02/01, 조선일보 한상혁 기자이 글은 제시한 자료 자체가 틀려있습니다. 그림의 도표에서도...
생각하는 게이머 3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2) 원천 자료를 어느 관점에서 보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게임의 귀환]은 좋은 책입니다. 대여해줬기 때문에 이 글을 적으면서 펼쳐볼 수는 없는데, 사실상 이 책에서 대부분의 '비디오 게임은 나쁘다'는 도시전설이 타파됩니다. (한국식 온라인은 별도 연구가 필요.) 아래 적을 '폭력적인 게임이...
생각하는 게이머 2 - '자료를 모으면서 읽고, 생각하라'. (1) 리퍼런스 쫓아 올라가기 - 조선일보 기사에서 인용된 '한국 청소년 게임시간' 관련.
이 글은 리퍼런스 역으로 쫓아 올라가는 방식의 예입니다. 그냥 예일 뿐이고 해당 반박 자료의 재확인을 거치지 않았습니다.---[게임, 또다른 마약] [게임, 또다른 마약] 게임 때문에… 아이는 망가지고 가족은 불화속으로 - 2012/02/03,...
생각하는 게이머 1. - '생각하라'.
만화로도 한국에 발매된 이시카 고타로의 소설 [마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썩어빠진 현 정부에 대항하는, 멋지고 카리스마 넘쳐서 모두 생각없이 추종하지만 결국 이쪽도 극단적으로 나쁠 수 있는 세력이...
인디에서 세상보기 10 ? 스팀은 ‘플랫폼’이 되기를 원한다. (2) 스팀이 게임 회사들과 주고 받는 것. 스팀웍스(Steamworks) <플레이포럼>
인디에서 세상보기 10 ? 스팀은 ‘플랫폼’이 되기를 원한다. (2) 스팀이 게임 회사들과 주고 받는 것. 스팀웍스(Steamworks) <플레이포럼> - 2012/01/04, 플레이포럼